대교 강상교(Steel Korea)

건설공사 브리지론보증, 중소 · 워크아웃사엔 여전히 높은 문턱

함박웃슴가득 2009. 3. 28. 10:57

건설공사 브리지론보증, 중소 · 워크아웃사엔 여전히 높은 문턱

채권양도 절차 까다로워 공동수주 대형사 눈치보느라 저조
 공사대금채권을 담보로 보증을 받아 자금을 대출받는 건설공사 브리지론보증 실적이 시행 5개월 만에 2500억원을 넘어섰다.

 그러나 정작 금융권으로부터 자금줄이 막힌 중소건설업체와 워크아웃 대상사들은 채권양도절차가 까다로워 보증을 받기가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신용보증기금과 건설업계에 따르면 이달 23일 현재 건설공사 브리지론보증 지원실적이 35개사에 2554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 말부터 시행돼 반년도 안 된 상황에서 보증규모가 2500억원을 넘어선 것이다.

 이처럼 단기간에 보증규모가 커진 것은 보증한도가 꾸준히 높아졌기 때문이다.

당초 업체당 70억원이던 보증한도가 지난해 11월 300억원으로 확대됐고, 한 달 뒤인 12월 31일에는 다시 2000억원으로 대폭 늘어나면서 대상기업도 30대 주채무계열 소속기업으로 확대됐다.

 건설공사 브리지론보증은 건설업체가 공사계약에 따른 공사대금채권을 신보에 담보로 제공하고 보증을 받은 후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을 받는 제도로, 공사 후 발주처가 지급하는 공사대금이 해당 대출의 상환재원이 된다.

 그러나 보증실적이 급증한 가운데도 정작 보증이 필요한 중소건설업체와 워크아웃 대상사들은 혜택을 받지 못해 부익부 빈익빈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신용보증기금 관계자는 “브리지론보증을 받기 위해선 채권양도절차를 거쳐야 하지만 공동발주가 기본인 공공부문에 참여하는 중소건설업체는 컨소시엄 내 대형건설업체의 눈치를 보기 때문에 지원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워크아웃 대상사들에 대해서는 아예 신보가 보증서 발급을 꺼리고 있다는 것이 건설업계의 지적이다.

 이에 대해 신용보증기금 관계자는 “채권은행들이 워크아웃 대상 건설사를 선별한 뒤 스스로 대출을 끊어 놓고선 정작 우리한테 해당 기업을 지원하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한정된 재원으로 리스크가 큰 기업을 지원한다는 것은 생각만큼 쉽지 않다”고 말했다.

 건설협회 관계자는 “올 들어 정부가 선급금을 대거 풀면서 건설업체들이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브리지론보증을 찾는 발길이 줄고는 있지만 아직도 건설업체들의 유동성 확보를 위해 유용한 제도”라며 “실제 돈이 필요한 업체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과거 외환위기(IMF)를 겪던 1998년에도 공사대금 담보대출보증이 시행된 적이 있으며 당시 약 3000억원의 특별보증이 이뤄졌다.

김태형기자 kth@

작성일 : 2009-03-27 오전 9:27: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