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불안' 시한부 국민연금…소생술 없나?
[국민연금 이대로 안 된다 ④] 국민연금 2060년에 바닥, 보험율 인상 or 제3의 안 노컷뉴스 조은정 입력 2013.03.05 06:03[CBS 조은정 기자]
국민연금에 대한 오해와 불만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공약한 기초연금과 맞물리면서 국민연금의 정체성마저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는 5년마다 돌아오는 국민연금 추계(推計)의 해이다. 연기금 고갈 시점이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는 그대로 손을 놓고 있을 것인가.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과 냉소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국내 전문가들을 심층 인터뷰해 국민연금의 앞길을 모색해본다. [편집자 주]
국민연금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우선, 사각지대가 많고 급여율이 적어 노후 보장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빠른 고령화로 재정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 딜레마이다.
국민연금은 재정을 튼튼히 하는 동시에, 노인 빈곤을 해소하는 역할을 해야하는 두가지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두가지 중 노인 빈곤 해소에 방점을 찍었다. 실제 우리나라 노인들은 다른 나라에 비해 유독 가난에 허덕이고 있다.(표1 참고)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이 76.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압도적 1위이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노인 복지 지출은 1.7%로 최하위권이다.
기초연금을 2배 인상하는 공약은 많은 논란을 빚었지만 심각한 노인 빈곤율을 고려하면 방향성은 바람직하다.
문제는 국민연금 재정이 불안하다는 것이다. 특히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국민행복연금'으로 통합한다는 소식이 들리자 후세대들이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연금 전문가들은 노인 빈곤율을 해소하는 것도 시급하지만, 국민연금의 재정 건정성을 높여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다.
◈ 2060년에 바닥나는 국민연금, 보험료 소폭 인상은 불가피?
국민연금 기금은 현재는 400조원 가량 쌓여있지만 2060년이면 바닥이 난다. 이번달에 재정계산이 다시 나오면 고갈 시점이 다소 앞당겨질 수도 있다.
기금이 바닥나면 어떻게 될까? 물론 국가가 존재하는 이상 약속한 연금은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고 보존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때가서 세금을 대폭 늘리거나, 보험료를 올리는 비상 조치가 불가피할 것이다.
따라서 후세대에 연금 폭탄을 떠넘기기 전에, 미리미리 국민연금의 고갈 시기를 늦춰야 한다. 연금 전문가들도 대체로 국민연금의 제도 개선을 찬성하고 있었다.
방법은 세가지. 보험료를 더 내거나, 연금을 적게 혹은 늦게 받는 것이다.
하지만 연금을 덜 받거나 늦게 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면이 있다. 지금도 우리 연금은 평균 소득액의 40%에 불과해 소득 대체율이 낮기 때문이다. 지급 수령액도 이미 연금 개혁을 통해서 60세에서 65세로 늦춰졌다.
그렇다면 남는 것은 보험률 인상이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보험률 인상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는 점을 공감하고 있었다.
이상은 숭실대 교수는 "우리는 보험률을 25년간 한번도 인상시키지 못했다"며 "보험료를 2~3%만 인상하면 기금 고갈율을 2090년까지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연금 계산에 보수적인 미국의 보험율이 12%인 점을 감안하면 그정도 수준은 거둬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보험율은 소득의 9%이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회사와 개인이 4.5%씩 부담한다. 이는 국민연금이 출범한지 25년동안 한번도 변하지 않았다. 이를 11~12%까지 끌어올리면 기금 고갈 시점을 수십년 늦출 수 있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금연구센터장은 "2030 세대들에게도 지속가능한 연금이 되려면 지금부터 재정을 튼튼하게 해야한다"며 "저부담-고급여 구조를 적정부담-적정급여로 바꿔야 한다. 당장 고통스럽더라도 제도개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 소득구간 올리고 최저-최고연금 두자는 제3의 안 눈길
보험료를 인상하는 대신 소득 구간을 더 늘리자는 김진수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의 안도 눈길을 끈다.
현재 국민연금은 월 소득 389만원 이상이면 보험료와 연금액이 똑같다. 아무리 연봉이 높아도 보험료는 최고 389만원을 기준으로 내고 있는 것이다. 이 구간을 더 세분화해서 더 버는 사람이 더 내게 하자는 것이다.
대신에 최저연금과 최고연금을 둬서 계층간의 소득 분배율을 높이자고 김 교수는 제안한다. 최저연금으로 최소한의 노후를 보장하는 대신, 최고연금을 둬서 고소득층이 좀 더 희생하는 구조를 만들자는 것.(표2 참고)
중간층은 9%의 보험료를 더 인상하지 않아도 되고, 저소득층은 최저연금으로 최소한의 삶을 보장받을 수 있다.
김 교수가 국민연금공단에 의뢰해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보험료 부과대상의 소득 상한선을 현행 건강보험기준인 연간 8710만원(월 725만원)과 동일하게 상향 조정할 경우, 보험율을 9%에서 12% 올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금 고갈 시점도 5년 연장됐다.
김진수 교수는 "국민연금 보험료는 소득의 9%라고 하지만 고소득자의 경우 사실상 훨씬 낮은 금액의 보험료를 내고 있었던 것"이라며 "고소득자들의 보험료 부담을 조금 더 높이는 대신, 퇴직연금 등을 강화해서 다층보장체계로 노후를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 젊은 세대 미움 사는 국민연금, 신뢰 구축이 시급
문제는 국민연금을 못미더워하는 여론이다. 아무리 전문가들이 연금개혁의 필요성을 공감해도 반응은 차갑기만하다.
국민연금의 신뢰가 높지 않은 상태에서 제도 개선을 하자고 나서는 것은 정부와 국회 입장에서는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와 같은 일이다.
가뜩이나 비우호적인 국민연금을 또다시 손대겠다고 하면 젊은 세대들 저항과 반발이 극심할 것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에서 보험률 인상 등 제도 개선 논의가 번번히 실패한 것도 이 때문이다.
연금에 대한 불신이 더 팽배해진 것은 박근혜 정부의 잘못된 접근 방법도 한몫 했다.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국민행복연금'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하는 안을 밀어부치면서 마치 재정까지 합치려 한다는 의구심을 남겼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국민연금에 대한 신뢰가 조금씩 쌓여가는 시점에서 국민행복연금이 거론되면서 혼란이 가중됐다며 지금이라도 통합안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오건호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연구실장은 "국민연금은 마치 수술이 필요한데 환자의 체력이 많이 약해진 상태와 같다"며 "제도를 손 봐야 하지만 사회적 신뢰가 크지 않아서 조치를 취하기도 어렵게 됐다"고 안타까워 했다.
오 실장은 이어 "기초연금을 국민연금과 연계하지 않았으면 제도 개혁 논의가 더 쉬웠을 것"이라며 "국민행복연금 제도 하에서는 생산적으로 논의를 하기 어렵다. 우선 연금 통합안을 철회하고,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각의 신뢰를 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여론이 잠잠해질 때까지 손을 놓고 있어도 될까? 이 부분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올해부터 당장 제도 개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과, 몇년은 여유가 있다는 주장이 엇갈렸다.
윤석명 센터장은 "5년, 10년 뒤에는 고액 연금 수령자가 많이 생겨 이해관계가 커지면서 제도 개선이 더 어려워진다"며 당장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한 반면 오건호 실장은 "5년 정도 국민연금 가입자들에게 대한 신뢰를 쌓고, 명분을 만들어야 한다"고 내다봤다.
다만 국민연금에 대한 오해를 풀고, 해법을 모색해보는 장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은 모두 공감했다.
문제를 감추거나, 왜곡하지 말고 폭넓은 논의의 장을 마련해 국민연금을 건강하게 되살리는 일에 동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와중에 연금이 자칫 여야 정쟁의 도구로 이용돼 세대간, 계층간 갈등을 부추겨서는 안된다고 입을 모았다.
김용하 순천향대 교수는 "3월에 추계가 나오면 국민들에게 현재의 연금 상황에 대해 차분하게 설명을 하고, 설득할 부분은 설득해야 한다"며 "국민연금은 국가의 미래 재정과 인구 고령화 문제를 좌우하는 핵심 사항인 만큼 전문가들과 정치인, 공무원들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aori@cbs.co.kr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국민연금에 대한 오해와 불만이 해소되지 않고 있다. 최근에는 박근혜 대통령이 공약한 기초연금과 맞물리면서 국민연금의 정체성마저 흔들리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올해는 5년마다 돌아오는 국민연금 추계(推計)의 해이다. 연기금 고갈 시점이 앞당겨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정부는 그대로 손을 놓고 있을 것인가. 국민연금에 대한 불신과 냉소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할까? 오늘은 마지막 순서로 국내 전문가들을 심층 인터뷰해 국민연금의 앞길을 모색해본다. [편집자 주]
국민연금은 이중고를 겪고 있다. 우선, 사각지대가 많고 급여율이 적어 노후 보장 역할을 충분히 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면서도 빠른 고령화로 재정 건전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 딜레마이다.
국민연금은 재정을 튼튼히 하는 동시에, 노인 빈곤을 해소하는 역할을 해야하는 두가지 과제를 안고 있는 것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 빈곤율이 76.6%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압도적 1위이고, 국내총생산(GDP) 대비 노인 복지 지출은 1.7%로 최하위권이다.
기초연금을 2배 인상하는 공약은 많은 논란을 빚었지만 심각한 노인 빈곤율을 고려하면 방향성은 바람직하다.
문제는 국민연금 재정이 불안하다는 것이다. 특히 기초연금과 국민연금을 '국민행복연금'으로 통합한다는 소식이 들리자 후세대들이 불만이 폭발하고 있다.
연금 전문가들은 노인 빈곤율을 해소하는 것도 시급하지만, 국민연금의 재정 건정성을 높여야 한다고 충고하고 있다.
◈ 2060년에 바닥나는 국민연금, 보험료 소폭 인상은 불가피?
국민연금 기금은 현재는 400조원 가량 쌓여있지만 2060년이면 바닥이 난다. 이번달에 재정계산이 다시 나오면 고갈 시점이 다소 앞당겨질 수도 있다.
기금이 바닥나면 어떻게 될까? 물론 국가가 존재하는 이상 약속한 연금은 받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국고 보존에도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때가서 세금을 대폭 늘리거나, 보험료를 올리는 비상 조치가 불가피할 것이다.
따라서 후세대에 연금 폭탄을 떠넘기기 전에, 미리미리 국민연금의 고갈 시기를 늦춰야 한다. 연금 전문가들도 대체로 국민연금의 제도 개선을 찬성하고 있었다.
방법은 세가지. 보험료를 더 내거나, 연금을 적게 혹은 늦게 받는 것이다.
하지만 연금을 덜 받거나 늦게 받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면이 있다. 지금도 우리 연금은 평균 소득액의 40%에 불과해 소득 대체율이 낮기 때문이다. 지급 수령액도 이미 연금 개혁을 통해서 60세에서 65세로 늦춰졌다.
그렇다면 남는 것은 보험률 인상이다. 전문가들은 대체로 보험률 인상이 어쩔 수 없는 부분이라는 점을 공감하고 있었다.
이상은 숭실대 교수는 "우리는 보험률을 25년간 한번도 인상시키지 못했다"며 "보험료를 2~3%만 인상하면 기금 고갈율을 2090년까지 늦출 수 있다"고 말했다.
연금 계산에 보수적인 미국의 보험율이 12%인 점을 감안하면 그정도 수준은 거둬야 한다는 것이다.
현재 보험율은 소득의 9%이다. 직장가입자의 경우 회사와 개인이 4.5%씩 부담한다. 이는 국민연금이 출범한지 25년동안 한번도 변하지 않았다. 이를 11~12%까지 끌어올리면 기금 고갈 시점을 수십년 늦출 수 있다.
윤석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금연구센터장은 "2030 세대들에게도 지속가능한 연금이 되려면 지금부터 재정을 튼튼하게 해야한다"며 "저부담-고급여 구조를 적정부담-적정급여로 바꿔야 한다. 당장 고통스럽더라도 제도개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 소득구간 올리고 최저-최고연금 두자는 제3의 안 눈길
보험료를 인상하는 대신 소득 구간을 더 늘리자는 김진수 연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의 안도 눈길을 끈다.
현재 국민연금은 월 소득 389만원 이상이면 보험료와 연금액이 똑같다. 아무리 연봉이 높아도 보험료는 최고 389만원을 기준으로 내고 있는 것이다. 이 구간을 더 세분화해서 더 버는 사람이 더 내게 하자는 것이다.
중간층은 9%의 보험료를 더 인상하지 않아도 되고, 저소득층은 최저연금으로 최소한의 삶을 보장받을 수 있다.
김 교수가 국민연금공단에 의뢰해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보험료 부과대상의 소득 상한선을 현행 건강보험기준인 연간 8710만원(월 725만원)과 동일하게 상향 조정할 경우, 보험율을 9%에서 12% 올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금 고갈 시점도 5년 연장됐다.
김진수 교수는 "국민연금 보험료는 소득의 9%라고 하지만 고소득자의 경우 사실상 훨씬 낮은 금액의 보험료를 내고 있었던 것"이라며 "고소득자들의 보험료 부담을 조금 더 높이는 대신, 퇴직연금 등을 강화해서 다층보장체계로 노후를 관리하도록 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문제는 국민연금을 못미더워하는 여론이다. 아무리 전문가들이 연금개혁의 필요성을 공감해도 반응은 차갑기만하다.
국민연금의 신뢰가 높지 않은 상태에서 제도 개선을 하자고 나서는 것은 정부와 국회 입장에서는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와 같은 일이다.
가뜩이나 비우호적인 국민연금을 또다시 손대겠다고 하면 젊은 세대들 저항과 반발이 극심할 것이 불보듯 뻔하기 때문이다. 역대 정부에서 보험률 인상 등 제도 개선 논의가 번번히 실패한 것도 이 때문이다.
연금에 대한 불신이 더 팽배해진 것은 박근혜 정부의 잘못된 접근 방법도 한몫 했다. 국민연금과 기초연금을 '국민행복연금'이라는 이름으로 통합하는 안을 밀어부치면서 마치 재정까지 합치려 한다는 의구심을 남겼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국민연금에 대한 신뢰가 조금씩 쌓여가는 시점에서 국민행복연금이 거론되면서 혼란이 가중됐다며 지금이라도 통합안을 철회할 것을 요구했다.
오건호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 연구실장은 "국민연금은 마치 수술이 필요한데 환자의 체력이 많이 약해진 상태와 같다"며 "제도를 손 봐야 하지만 사회적 신뢰가 크지 않아서 조치를 취하기도 어렵게 됐다"고 안타까워 했다.
오 실장은 이어 "기초연금을 국민연금과 연계하지 않았으면 제도 개혁 논의가 더 쉬웠을 것"이라며 "국민행복연금 제도 하에서는 생산적으로 논의를 하기 어렵다. 우선 연금 통합안을 철회하고,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각의 신뢰를 쌓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렇다면 여론이 잠잠해질 때까지 손을 놓고 있어도 될까? 이 부분은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올해부터 당장 제도 개선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과, 몇년은 여유가 있다는 주장이 엇갈렸다.
윤석명 센터장은 "5년, 10년 뒤에는 고액 연금 수령자가 많이 생겨 이해관계가 커지면서 제도 개선이 더 어려워진다"며 당장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고 제안한 반면 오건호 실장은 "5년 정도 국민연금 가입자들에게 대한 신뢰를 쌓고, 명분을 만들어야 한다"고 내다봤다.
다만 국민연금에 대한 오해를 풀고, 해법을 모색해보는 장이 마련돼야 한다는 점은 모두 공감했다.
문제를 감추거나, 왜곡하지 말고 폭넓은 논의의 장을 마련해 국민연금을 건강하게 되살리는 일에 동참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 와중에 연금이 자칫 여야 정쟁의 도구로 이용돼 세대간, 계층간 갈등을 부추겨서는 안된다고 입을 모았다.
김용하 순천향대 교수는 "3월에 추계가 나오면 국민들에게 현재의 연금 상황에 대해 차분하게 설명을 하고, 설득할 부분은 설득해야 한다"며 "국민연금은 국가의 미래 재정과 인구 고령화 문제를 좌우하는 핵심 사항인 만큼 전문가들과 정치인, 공무원들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강조했다.
aori@cbs.co.kr
(대한민국 중심언론 CBS 뉴스FM98.1 / 음악FM93.9 / TV CH 412)
<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www.nocutnew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컷뉴스 실시간 주요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 낸시랭 "내가 종북? 귀여운 변희재, 열심히 사세요" 2013-03-05 05:44
- 어린이 춤배틀, 놀라운 6세女 '해외토픽' 2013-03-05 07:28
- '불안불안' 시한부 국민연금…소생술 없나? 2013-03-04 18:44
- '프로농구 승부조작' 현직 감독 소환 예정…브로커 구속 2013-03-05 00:13
- 고성국 “안철수·노회찬, 물러설 수 없는 곳으로…” 2013-03-05 05:47
- 베스트 댓글 흥부신사님 다른댓글보기
- 자꾸 언론플레이 하지마라........다알고있다 11:19신고
- 답글 0 0 0
- 베스트 댓글 용님 다른댓글보기
- 이 ㅅ ㅅ ㄲ 들조금불리한 댓글에 찬성 싸인할려면 정상적이지 않는 요청이란다 11:14신고
- 답글 0 0 0
- 베스트 댓글 Shadow님 다른댓글보기
- 까는소리 집어치우고 환불후에 국민연금 관리공단 해산시켜라.
이러다가 폭동 일어난다. 11:14신고 - 답글 0 6 0
- 베스트 댓글 떵구려님 다른댓글보기
- 연금 해체 해라. 간단하쟎아. 11:12신고
- 답글 0 3 0
- 베스트 댓글 무애님 다른댓글보기
- 연금공단 직원 줄이고
감사 철저히 하고
연금 부은대로 주면 된다. 11:10신고 - 답글 1 2 0
- 베스트 댓글 황인창님 다른댓글보기
- 간단합니다.국민년금의 수입과 지출을 맟춰주면 해결되는 간단한일 입니다. 11:05신고
- 답글 0 1 0
- 베스트 댓글 해오름님 다른댓글보기
- 국민연금 눈먼돈으로 알고맘대로써대는 연금공단 인력 줄이고 감사 늘리고 비리 발견되면 사형시켜라. 국민연금내는 사람들이 힘없으니까 만만하냐?? ㅆ ㅂ 10:55신고
- 답글 0 8 0
- 베스트 댓글 피알릭스님 다른댓글보기
- 그냥 개인의 선택으로 합시다...
10:52신고 - 답글 0 6 0
- 베스트 댓글 하늘땅님 다른댓글보기
- 현 노인층 세대에게 과하게 혜택이 돌아가는 그래서 우리 자식세대들에게 과도하게 짐을 지우는 국민연금은 이제 폐지가 맞다고 본다. 폐지하자.... 10:49신고
- 답글 0 2 0
- 베스트 댓글 마법사jes님 다른댓글보기
- 지금도 먹고 살기 힘들다...나중은 어떻든지...원금만 돌려 줘라.... 10:49신고
- 답글 0 4 0
- 베스트 댓글 Squirrel님 다른댓글보기
- 시니어들이 더 내도록 해야 후세대의 부담을 줄입니다.
우리 아이들의 상실감을 시니어들이 보듬어야 하지 않을까요? 10:48신고 - 답글 0 2 0
- 베스트 댓글 들국화님 다른댓글보기
- 며칠 전까지는 연금에 돈많이 쌓아놓으면 좋을게 없다면서 노령연금으로 빼쓸 연구 하지 않으셨나요? 난 당췌 이노무 정부는 믿음이 가질 않어... 10:44신고
- 답글 0 7 0
다-사랑님 다른댓글보기
몸으로 근근히 막노동 자리라도 전전하면서
근근히 내는 세금 노후 최저생활이라도 기대해보겟다고 국민연금을 내면서
정권을 바꾸기기를 고대하면서 투표했는데!
자식 손자돈으로 근근히 징그러운 목숨 붙어있는 60~90 개무식 늑다리들이
자식 손자 죽으라고 1번 찍어서 나라도 정치도 직장도 희망도 뺏긴 20~40에게
이제는 근근히 부어온 국민 연금까지 뺏어 간다네!
섹섹당 개들은 공무원 연금이 적다면 내세금으로 보전해서 채워주고
대기업 부도난다면 또 내돈으로 채워주고!
이젠 연금까지 08:58신고
- 베스트 댓글 하수의 경지님 다른댓글보기
- 이런것만 선진국 따라가냐?
분노가 쌓이는게 안보이니? 08:54신고 - 답글 0 2 0
- 베스트 댓글 라울님 다른댓글보기
- 국민연금 가지고 장난 치는 정당은 파멸한다. 명심해라. 국민들 가만 있을거 같더냐? 08:52신고
- 답글 0 2 0
- 베스트 댓글 유아독존님 다른댓글보기
- 기자넘아 기사 쓸게 그렇게 없냐?? 국민연금 2060년까지 끄떡 없다는데 왜 허구한날 똑 같은 기사 올려서 국민들 불안하게 지랄들이냐?? 08:52신고
- 답글 1 0 2
- 베스트 댓글 하늘끝까지간다님 다른댓글보기
-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한다더니, 국민연금 납부한 내돈 돌려줘라! 이자는 안받을테니! 08:51신고
- 답글 0 2 0
- 베스트 댓글 달콤한유혹님 다른댓글보기
- ㅉㅉㅈ, 불쌍한 한반도 좀비 버러지들,
젊어서 노력을 많이 해서 잘 저축하지,
젊어서 방탕하게 살다가, 늙어서 국가에 기생하겠다는 버리지 민족들...
08:50신고 - 답글 0 0 0
- 베스트 댓글 착한청년님 다른댓글보기
- 지금이라도 안하면 된다~
지금까지 낸돈 돌려주면 된다~
원금만 돌려줘라~
08:49신고 - 답글 0 0 0
- 베스트 댓글 zeus님 다른댓글보기
- 소득이 높은 개인과 이익이 많은 법인의 조세부담을 줄여 놓았습니다.
세금으로 충당해야 될 복지 재원등을 국민연금에 전가시켜 버렸습니다.
그 법을 입안한 자들은 국민연금과는 하등 관계가 없는 공무원연금을 받습니다.
국민연금공단 직원들은 연금가입자들의 의사와 전혀 상관없이 기금을 운용합니다.
잘못된 기금운용에 대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요율만 높이면 대책이 된다고 말하며 전문가입네 하는 사람들도 한심해 보입니다.
구멍난 독에 물을 채우려면 빠지는 물보다 더 많은 물을 부으면 된다고 주장하는 식이네요. 08:46신고 - 답글 1 12 0
- 베스트 댓글 중수님 다른댓글보기
- 아마도...연금은 우리하고 관계가 없을지도..미리 마음 비우는게 좋을듯.. 08:46신고
- 답글 0 1 0
- 베스트 댓글 미미외단비님 다른댓글보기
- 전두환한테받은6억을국민연금에기부하지... 08:44신고
- 답글 0 1 0
- 베스트 댓글 BooKang님 다른댓글보기
-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이두가지부터 개선해라
08:44신고 - 답글 0 1 0
- 베스트 댓글 멋진남님 다른댓글보기
- 숭실대 교수야 우리나라가 뭐가 문제인줄 아나 국가마다 정서가 다르고 처한 환경이 다른데 다른 나라들의 좋은법만 가져다가 짜맞추기 하는 법인 문제다. 그러면 자원이 많아 국민들에게 놀고 먹어도 지원 해주는 그런 방안은 왜 접목 시키지 않노? 교수라는게 답변 하는거 보면 그나마 숭실대 교수자리라도 앉아 있어서 다행인줄 알아라. ㅉㅉㅉ 1년에 1억 버는 사람의 12%하고 1년에 3천만원 버는 사람의 12%하고 무슨 차인줄 아나 1억은 그래도 먹고 살만 하지만 3천만원은 기초 생활이 안된다. 08:43신고
- 답글 0 1 0
- 베스트 댓글 거품생맥주님 다른댓글보기
- 만성적자 국민혈세 빨아 먹는 공무원 연금도 65 세로 늦추고
더내고 덜받는 구조로 바뀌라
그럼 국민연금 개혁 수긍한다 08:40신고 - 답글 0 8 0
- 베스트 댓글 알케미아님 다른댓글보기
- 소생술? 그딴거 집어치고 그냥 없애!
내돈이나 돌려줘 c바
08:37신고 - 답글 0 4 0
- 베스트 댓글 불량감자님 다른댓글보기
- 연금으로 주식부양하고, 환율방어에 투입하고, 투자에 실패하고...그래놓고 누구탓?.... 08:36신고
- 답글 0 5 0
- 베스트 댓글 영원님 다른댓글보기
- 정부정책을 믿고 강제적으로 국민연금 가입자와 임의 가입자는 이제 더이상 정부정책에
대한 조그만한 신뢰도 잃어버릴수밖에 없다. 공약이라고 지켜야 하고 이전 정부정책을
믿고 조금이라도 노후보장을 할까 해서 임의 가입한 주부들의 경우 가입하지 않는 사람
보다 못하다면 어느누가 가입해서 납입하겠는가 ! 정부의 한심한 정책 방향에 국민들은
정부에 대한 신뢰는 전혀 없다. 청문회에 나온 고위 정책자들 대부분은 온통 비정상적
으로 살아온 사람들로 그들에게 무엇을 기대하겠는가 ! 국민연금 가입자들을 우습게 생
각한다면 08:36신고 - 답글 0 1 0
- 베스트 댓글 오까네짱님 다른댓글보기
- 대가리를 시원하게 군화발로 날리는 맛 죽이지.
남의 불행은 그런 맛이다. ㅋㅋ 08:36신고 - 답글 0 4 0
- 베스트 댓글 rhrntk님 다른댓글보기
- 내가 그전에 죽을것 같거든?
그냥 원금이라도 돌려주고 쫑내자
어차피 연기금가지고 환율방어네 어쩌네 하거나 주가조작에나 동원되는 눈먼돈 취급하잖아
그냥 쫑내고 돌려줘라
죽을지경이다 08:35신고 - 답글 0 7 0
- 베스트 댓글 왕십리70님 다른댓글보기
- 고소득층이 자기 표밭인데 어쩌겠노 ? 또 노인네들도 자기표밭이니...결국은 젊은 애들 등골뽑아 현재 노인들 부양시키느 방향으로 가겠지. 08:29신고
- 답글 0 7 0
- 베스트 댓글 판도라님 다른댓글보기
- 몇 십년 뒤에 20만원으로 보편적 복지할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이자는 필요 없으니 원금 돌려주고 폐지하라. 원금에 세금 물리고 떼먹지는 않겠지. 08:29신고
- 답글 0 6 0
- 베스트 댓글 카바티나님 다른댓글보기
- 도로 항만 부동산투자 좀해라
수익이 최소 10 %
외국자본에 넘기지말고 08:27신고 - 답글 0 1 0
- 베스트 댓글 풀 나무님 다른댓글보기
- 공무원연금
군인연금 과 같이
동등 하게 국민연금 에도 세금 투입하면 문제 될것 없다 08:23신고 - 답글 0 11 0
- 베스트 댓글 플라워님 다른댓글보기
- 국민 연금은 완전 사기다!!
국민을 대상으로 한 , 사기다. 08:23신고 - 답글 0 9 0
- 베스트 댓글 은빛여울님 다른댓글보기
- 박그네는 당장 빨갱이식 전면복지정책을 폐지하라.
08:22신고 - 답글 0 3 0
wkd님 다른댓글보기
어차피 닥대가리 다 갖다 쓸긴데.
쓰기 실음 엽애든가 허것지,
고거 이미 내돈 아니다. 08:22신고
- 베스트 댓글 anjfqhsktlqkfshadk님 다른댓글보기
- 국민연금은 개선해야 하는거지 폐지해야 하는게 아니다. 그나마 한국이 미국보다 나은 복지제도 2개가 의료보험과 국민연금인데, 그걸 페지하면 미국 401K 와 똑같아지는거고, 삼성생명만 천문학적인 돈을 벌게 된다. 08:21신고
- 답글 0 1 3
- 베스트 댓글 와일드와사비님 다른댓글보기
- 미안하오. 의도는 좋으나 못받을꺼 뻔히 알면서 내기엔 현 상황이 여의치않다우.. 08:20신고
- 답글 0 6 0
- 베스트 댓글 저시키 알바님 다른댓글보기
- 민간 보험으로 대체를 하려고 하겠지.ㅋㅋㅋㅋ 이번 정권안에서 그렇게 될 수 도 08:20신고
- 답글 0 9 1
- 베스트 댓글 살찐토끼님 다른댓글보기
- 부자증세해서 연금에 세금까지 더해서 줄 생각은 안하고 보험료 더 처먹고 엄한데 쓸생각만 하냐? 08:20신고
- 답글 0 5 0
- 베스트 댓글 원샷원킬님 다른댓글보기
- 국민의 피를 빨지 않고는 소생 불가!
국민연금을 편안하게 안락사 시키자! 08:18신고 - 답글 0 7 0
- 베스트 댓글 강소님 다른댓글보기
- 방송법을 개정해서 1차로
이 씨비를 문을 닫게해라!
국부의 낭비가 바로 이런것들이다.
이 개차반 아가리를 찢어버리라! 08:17신고 - 답글 0 1 0
- 베스트 댓글 정의는 이긴다님 다른댓글보기
- 국민연금은 정부의 공돈아닌가
정부에서 국민연금으로 묻지마 투자해서 날린돈만 몇조인데
우선적으로 국민연금의 투명한 관리와 운영을 국민들에게 먼저 공개해야한다 08:15신고 - 답글 0 3 0
- 베스트 댓글 바로잡자님 다른댓글보기
- 박그네가 당첨될 수 밖에 없었던 사기
문재인 안철수 이간질 성공
전자개표기로 무조건 51대49 구도 만듬
영남의 인구가 많다는것 빌미로 사기쳐도 된다
MB 방송3사 장악했으니 언론은 결코 떠들수 없다
사람들 정치 의식수준은 실체를 들여다 볼 여유가 없다
국정원,선관위,청와대가 사악한 MB의 꼼수에 짝짝궁
십알대 일베충의 지속적 국민이간질 프로젝트가동
박그네는 퇴임후 MB보증수표
이러니 순진한 국민들 뒤통수맞지
이곳에 실체가 있슴
엉뚱한 곳 화살 돌리지 말고 보셔들~
corean1004.blogspot.kr
08:13신고 - 답글 1 25 2
- 베스트 댓글 차카게살자님 다른댓글보기
- 젊은 사람은 봉이냐?
밑빠진 독에 물붓는데... 젊은이만 더 들이붓는다...
더내고 덜받고 애들도 그런건 한다...
재네들 전문가 맞냐? 08:13신고 - 답글 0 3 1
- 베스트 댓글 바로잡자님 다른댓글보기
- 부정선거로 사라진 개인의가치
국민들 개인당 투표권의 가치는 무려4500만원
그돈을 강도 당했다고 생각해보세요
돈만 강탈한게 아니라 5년이라는 시간까지 강탈해 갔습니다
누가 강탈해 갔는지는 잘알겁니다
제명에 죽지못해 안달인 부정한 놈들에게 당한겁니다
서민 호주머니를 털었고
젊은이들의 미래를 밟아버렸고
중산층 생활경제를 몰락시킨 파렴치범들을
절대로 그냥 두어선 안됩니다
모든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오는게 정답입니다
부정한 방법으로 권력을 찬탈한무리
반드시 심판대에 오르게 합시다
바로잡지 않으면 5년후 달라질게 없슴을 명심하세요 08:13신고 - 답글 0 5 1
- 베스트 댓글 선악님 다른댓글보기
- 4대보험 통합만이 정답이다....일도 안 하면서 놀고 쳐먹는 4대보험 버러지들이 너무 많다 08:12신고
- 답글 0 15 0
- 베스트 댓글 18대-수개표-하라님 다른댓글보기
- 봐라
김정은이 국민을 힘들게 하냐
박근헤가 국민을 힘들게 하냐 08:11신고 - 답글 1 6 1
- 베스트 댓글 It is possible님 다른댓글보기
- 궁민연금 폐지하자 지금 먹을 돈도 없는데 무신 늘어서 덕을 보겠다고. 늘근이와 궁민연금 직원 배불리 먹이는 꼴. 당장 폐지하자 08:10신고
- 답글 0 11 1
- 베스트 댓글 밤타님 다른댓글보기
- 군인연금 사학연금 공무원연금부터 합쳐라 이런~ 것들아 국민만 봉으로 삼냐? 08:10신고
- 답글 0 4 1
플라워님 다른댓글보기
지급 싯점을 단계적으로 100세로 올린다.
또한 연금 을 올리면 된다. 08:07신고
- 베스트 댓글 개미발가락님 다른댓글보기
- 사기정권에서 부터
이제 박여사정권도 나라를 파탄 낼려는 전초가 시작되었다 08:06신고 - 답글 0 3 1
- 베스트 댓글 모기만한 소리님 다른댓글보기
- 이런데다가 손 벌리는 뻐그네란 年은 국민의 역적이다. 반드시 斷罪를 해야 한다. 08:04신고
- 답글 0 2 1
- 베스트 댓글 maxwell님 다른댓글보기
- 쥐새끼가 국민연금 위험성 높은곳 빼먹기 좋은곳에 마구 쳐넣었지.... 07:59신고
- 답글 0 46 2
- 베스트 댓글 TFCB님 다른댓글보기
- 교수색희나 공무원색희들이나 이거나 처먹어라 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ㅗ 07:58신고
- 답글 0 65 3
- 베스트 댓글 TFCB님 다른댓글보기
- 개소리 작작하고 있네 15000명 연금공단 직원색희들 성과급잔치만 안해도 고갈 10년은 미룰수 있다. 07:57신고
- 답글 5 192 5
- 베스트 댓글 lee590님 다른댓글보기
- 국민연금없애고.그동안 불입한원금반환하라 07:49신고
- 답글 0 79 3
- 베스트 댓글 lmy1799님 다른댓글보기
- 국민연금 폐지하고 이자쳐서 돌려줘라~~~~~~~~~~~~ 07:43신고
- 답글 0 115 2
- 베스트 댓글 Johanneskan님 다른댓글보기
- 재벌들 위해 환율 막고 주식시장에 퍼다 넣은 돈이 국민연금 아니었나???? 07:40신고
- 답글 2 201 2
- 베스트 댓글 맹구야 놀자님 다른댓글보기
- 4대강에 다 쳐박아넣은거는 아니고??
쥐굴 파보자..!!거기에 엄청난것이 있다. 07:39신고 - 답글 1 67 4
- 베스트 댓글 하늘님 다른댓글보기
- 븅신들아 그게 연금이 아니구
국가가 국민들 등쳐먹는거다,
남한넘들이 달래서 호구인줄 아니 ? ㅉㅉ
07:30신고 - 답글 4 82 2
- 베스트 댓글 길가는나그네님 다른댓글보기
- 신중히 결정합시다 취지는 좋은거니 07:20신고
- 답글 0 1 4
- 베스트 댓글 sb JBS님 다른댓글보기
- 됐고, 먹은 거 토해 내 그리고 받지마 06:48신고
- 답글 0 122 3
'가네모찌 라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분양가 10억→1.7억' 용인아파트, 어쩌다… [[머니위크]'반값 낙찰' 착시현상과 함정] (0) | 2012.08.01 |
---|---|
악덕 세입자 내보내는 방법 2011.10.08 (0) | 2012.04.03 |
인생도전! 창업 스토리 (0) | 2011.12.04 |
“왕따 당하던 촌놈이 ‘웨딩 재벌’ 됐어요” (0) | 2010.01.19 |
점점 한국이 필요한 일본신정록 도쿄특파원 (0) | 2010.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