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1) 시간을 바라보는 영어의 논리
4) 시간을 바라보는 영어의 논리
우리는 보통 영어의 시제를 논하면서 ‘현재, 과거, 미래, 완료시제 등’을 설명합니다. 그런데 이것은 영어의 시간에 대한 논리가 아닙니다. 영어가 시간과 관련하여 처음 주목한 것은 다음 세 가지입니다.
A : 실제로 어느 시점에 발생한 사실(事實) B :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일(≠사실<事實>) C : 어떤 사건의 완성 및 미완성의 양상(aspect)
|
위 세 가지를 분석하면서 부수적으로 발생한 것이 ‘현재, 과거, 미래, 완료시제 등’의 12시제와 같은 것들입니다. 위 세 가지를 통해서 영어는 모든 시간과 관계된 정보들을 만들어 냅니다.
앞에서 <영어의 시제는 ‘현재와 과거’뿐이다>라는 주장이 있다는 것을 언급했었습니다. 반드시 이 주장과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어찌되었건 간에 A, B, C 각각의 상황에서 현재와 과거의 경우를 나누어 정리하게 되면 영어의 모든 시제에 대한 것을 설명할 수 있게 됩니다.
A : 실제로 어느 시점에 발생한 사실(事實)
① 현재 :
② 과거
B : 실제로 발생하지 않은 일(≠사실<事實>)
① 현재 :
② 과거 :
C : 어떤 사건의 완성 및 미완성의 양상(aspect)
① 현재 :
② 과거 :
지금부터 차례로 설명해 보겠습니다. 다시 한 번 강조하지만 지금 이루어지는 시제에 대한 정리는 최종적으로 가정법을 설명하는 기본 논리로 역할 하게 되기 때문에 주의 깊게 보시기 바랍니다.